<논평> 민주노총이 성폭력 사건을 진정으로 해결하려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아래 민주노총)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이 세상에 드러났다. 한 개인이 거대한 조직에 맞서 문제제기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반인권적이고 부당한 사건을 당당하게 지적한 피해자의 용기에 아낌없는 지지를 보낸다. 하지만 언론들이 계파갈등 등으로 사건의 본질을 왜곡하는 가운데, 지금까지도 피해자에 대한 지지와 보호, 가해자의 반성과 사과, 2차 가해의 예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
성폭력 사건이 발생한 후 민주노총은 사건을 ‘해결’하기보다는 ‘수습’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중앙임원들이 성폭력 해결을 위한 공식적인 절차를 밟기에 앞서 가해자를 제명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건을 수습하려고 했던 과정은 그 자체가 바로 성폭력 사건의 은폐와 축소이다.
그나마 임원 총사퇴, 재발 방지 계획 수립, 2차 가해에 대한 진상조사 등 민주노총이 뒤늦게 보이고 있는 모습은 지금까지의 운동사회 내 반(反)성폭력 운동의 성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해자를 처벌하기만 하면 사건이 해결되는 것인가? 또는 지도부가 총사퇴하면 사건이 해결된 것인가? 이 질문들에 답할 수 있는 감수성을 민주노총이 아래로부터 만들어낼 수 없다면, 지금 밟고 있는 절차는 민주노총 내에서 성폭력 사건을 근절할 수 있는 예방책이 될 수 없다.
반성폭력 운동의 성과로 만들어진 형식들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성별 간 권력관계에 대한 근본적 반성, 구성원 전체의 감수성을 키우는 인권교육과 성평등교육, 남성중심의 권위와 위계질서를 해체할 수 있는 조직구조 개편, 여성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조직문화 혁신 등의 노력을 반드시 함께 기울여야 한다. 그렇지 않을 때, 애써 만든 규약과 제도는 형식과 문서만 남은 채 성폭력은 또다시 반복될 것이다.
민주노총이 성폭력 사건을 진정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혹시 지금까지도 민주노총 구성원들에게 조직이 입게 될 피해를 먼저 걱정하는 마음이 남아있다면, 성폭력은 다시 발생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지금 민주노총에게 ‘사건의 올바른 해결’과 ‘성폭력 근절’ 외에 다른 대안은 없다.
2009년 2월 12일
인권운동사랑방
언젠가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이야기 하면서 나눴던 말들이 떠오릅니다.
성폭력문제를 문제시 했을 때 동아리 내부 분열이 일어나거나 가해자가 입을 피해를 피해자가 먼저 걱정하고
자신이 가해자가 된듯 여기게 되버리는 상황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죠.
그때 제 자신도 조직보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그때 저의 정신을 차리게 했던 것이.. '그런조직이면 깨지는게 더 낫다'라는 것이었죠.
그건 가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데 '누군가 아파야만 유지되는 공동체라면 깨지는 게 당연하다'라는 거죠..
그런데 그걸 운동사회에 가져다 대입하면 참 웃기게 되버리는 거죠.
가해자들을 보며 그 사람이 몇십년동안 어떤 운동을 했던 사람인데.. 그사람의 운동을 망칠 순 없다는 것.
그사람이 없다면 조직운영이 불가능한데 어떻게 그사람을 그렇게 오랫동안 징계내리냐는 것.
이 조직이 어떤 조직인데 이 조직을 무너뜨리냐는 말들..
조직,조직,조직,조직, 내 동지, 형제 자매같은 동지.. 조직의 운영..
그것이 운동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각하게 이야기 하는 것들..
성폭력이 발생하고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이 조직은 깨져야 한다'가 아닐까..
기본조차 갖추지 못한 활동가들이 내거는
활동가들의 미래, 조직의 미래, 운동의 미래는 실망을 넘어 무섭기까지 합니다.
분명 사건을 조작하거나 은폐하거나 축소할 생각은 없다고 말할 테지만 근본부터 성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닌 '수습'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문제를 접하는 순간 사건은 은폐, 축소될 수밖에 없는거죠.
그러한 자세이기에 아웃팅은 셀 수도 없을 만큼 일어나고 어느새 활동가의 대부분이 2차 3차 가해자가 되는 것이겠죠.
민주노총이 썩어서 그런다고 전 생각하지 않습니다.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입니다.
난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만 할것인지 지금부터 준비하고 고민하더라도
정작 사건이 벌어졌을 때 민주노총과 같은 모습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리라고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역사의 발전이 언제나 원칙적으로 어긋남이 없어서 여기까지 굴러왔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역사에서는 혁명이 일어났다고 세상이 변혁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지금당장 조직이 보위되어 곪아터지는 상처들을 숨기고 투쟁을 만들어 갈 수 있겠지만
그 조직의 문제가 비단 성폭력의 문제일까요?
여성의 문제는, 장애인의 문제는, 성적소수자의 문제는.
자본주의 철폐후에??
정말 어렵겠지만, 그렇기에 더욱 예민하게 정신차리고 활동해야겠죠.
전 제가 몸담고 꿈담은 조직에서 가장 사랑하고 존경하며 운동에 없어선 안될 사람이 성폭력 문제와 연루되었을 때 조직보위에 흔들리지 않고 해결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제발 그럴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