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동차를 만드는 공장의 라인에서 오른쪽문은 정규직이 달고 왼쪽문은 비정규직이 단다는 것은 차별을 쉽게 설명하는 예중 하나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구분으로 다른 대우를 하는 것이 얼마나 비상식적으로 불합리한 일인지를 잘 설명해주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도 옛말이다. 대략 2000년 이후에 가동을 시작한 공장들은 정규직을 전혀 고용하지 않는다. 기왕의 공장들도 라인별로 소사장을 두거나 외주화해서 정규직이 한명도 없는 공장을 확인하는 것은 이제 어렵지 않다.
기아자동차 모닝을 위탁생산하는 서산의 동희오토는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아자동차를 만드는 노동자가 기아자동차의 직원이 아니고, 그렇다고 위탁생산하는 동희오토의 직원도 아니다. 공장의 부지는 현대자동차가 10년 동안 임대한 것이고 기아자동차에게 30%의 지분이 있는 동희오토는 단지 150명의 사무 관리직원만 있다. 나머지 생산현장의 850명 노동자는 모두 12개의 하청업체에 나뉘어 고용된 비정규직이다.
여기에 20%의 이주노동자들이 있다. 대략 생산라인의 한 업체당 20여명 안팎으로 모두 200여명이다. 대부분이 중국인 노동자들이고 업체마다 연변의 한인 동포들이나 새터민을 고용해 통역도 하고 중간관리를 맡긴다. 회사 자료를 본적이 없으니 알 수 없지만 현장의 노동자들은 이주노동자들이 2년마다 한 번씩 바뀐다고 하고 관리자들뿐 아니라 라인에서 함께 일하는 내국인 노동자들이 쉽게 욕을 하기도 한다고 말하는 것을 보면 현장의 분위기가 참 흉흉하다.
그런데 얼마 전 동희오토에서는 업체마다 바뀐 취업규칙에 싸인을 하라고 관리자들이 돌아다니며 서명을 받았다. 대부분은 일하느라 바쁜 와중에 내용을 확인하지도 않고 서명해준 바뀐 내용이란 600%씩 받고 있는 상여금을 성과에 따라 400%까지 차등지급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뒤늦게 확인한 일부 노동자들이 단체협약에 600%라고 합의되어 있는데 왜 일방적으로 취업규칙을 바꾸려고 하냐고 항의하자 회사는 이미 지난 단체협약에서 노조 위원장들이 바뀌는 취업규칙과 동일한 내용을 합의해주었다고 오히려 큰소리치며 확인해 주었다.
그런데 이것도 옛말이다. 대략 2000년 이후에 가동을 시작한 공장들은 정규직을 전혀 고용하지 않는다. 기왕의 공장들도 라인별로 소사장을 두거나 외주화해서 정규직이 한명도 없는 공장을 확인하는 것은 이제 어렵지 않다.
기아자동차 모닝을 위탁생산하는 서산의 동희오토는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아자동차를 만드는 노동자가 기아자동차의 직원이 아니고, 그렇다고 위탁생산하는 동희오토의 직원도 아니다. 공장의 부지는 현대자동차가 10년 동안 임대한 것이고 기아자동차에게 30%의 지분이 있는 동희오토는 단지 150명의 사무 관리직원만 있다. 나머지 생산현장의 850명 노동자는 모두 12개의 하청업체에 나뉘어 고용된 비정규직이다.
여기에 20%의 이주노동자들이 있다. 대략 생산라인의 한 업체당 20여명 안팎으로 모두 200여명이다. 대부분이 중국인 노동자들이고 업체마다 연변의 한인 동포들이나 새터민을 고용해 통역도 하고 중간관리를 맡긴다. 회사 자료를 본적이 없으니 알 수 없지만 현장의 노동자들은 이주노동자들이 2년마다 한 번씩 바뀐다고 하고 관리자들뿐 아니라 라인에서 함께 일하는 내국인 노동자들이 쉽게 욕을 하기도 한다고 말하는 것을 보면 현장의 분위기가 참 흉흉하다.
그런데 얼마 전 동희오토에서는 업체마다 바뀐 취업규칙에 싸인을 하라고 관리자들이 돌아다니며 서명을 받았다. 대부분은 일하느라 바쁜 와중에 내용을 확인하지도 않고 서명해준 바뀐 내용이란 600%씩 받고 있는 상여금을 성과에 따라 400%까지 차등지급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뒤늦게 확인한 일부 노동자들이 단체협약에 600%라고 합의되어 있는데 왜 일방적으로 취업규칙을 바꾸려고 하냐고 항의하자 회사는 이미 지난 단체협약에서 노조 위원장들이 바뀌는 취업규칙과 동일한 내용을 합의해주었다고 오히려 큰소리치며 확인해 주었다.
소속 노동조합의 단체협약이 바뀌는 것도 모르고 있었던 조합원들은 어용노조 위원장에게 항의했지만 이미 지난 일이고, 회사에 항의하자 분노하는 노동자들을 달래며 회사가 답변한 것이 참 가관이다.
“한국인들은 걱정하지 마라. 이 조항은 앞으로 취업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것일 뿐이다.”
가장 큰 불평등은 회사를 경영하는 자와 생산하는 자 사이의 소득의 불평등이다. 뼈 빠지게 땀 흘려 주야간 노동을 하는 사람보다 관리자들의 소득이 더 많은 것이 문제다. 10억이 넘는 임원의 연봉보다 6000만원인 생산직 노동자의 연봉을 보고 사람들이 더 분노하는 것이 가장 큰 불평등이다. 문제는 거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똑같이 생산노동을 해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이 다르고, 똑같이 비정규직이라도 내국인과 이주노동자들이 임금이 다르다. 다른 임금과 처우를 받는 노동자들은 단결하기 어렵다. 같은 임금과 처우를 받아도 업체별로 분할되어 있어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노동조합 활동하기가 어려운데, 이제 다시 비정규직 보다 못한 이주노동자들은 어떻게 단결할 수 있을까.
모두 정규직으로 고용하면 그만인 것을 비정규직과 이주노동자로 나누는 것은 정규직보다 못한 비정규직이 아니라 이주노동자 보다 낳은 비정규직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정규직보다 못한 비정규직과 이주노동자들의 눈물과 한숨이 섞인 더 많은 이익은 물론 정규직이나 비정규직이 아니라 회사의 몫이 된다. 더욱이 이 시스템의 가장 나쁜 점은 생산직 사이의 불평등이 보다 큰 불평등, 회사를 소유한자와 일하는 자 사이의 불평등을 안보이게 만들어 버린다는 사실이다.
이제 자동차를 만드는 라인에서 오른쪽 문은 비정규직 노동자가 달고 왼쪽문은 이주노동자가 달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그가 이주노동자이든 비정규직이든 정규직이든 같은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같은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싸워야, 저만 살면 그만이라는 자본의 천박한 논리를 더럽다하며 밟아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마땅히 그래야 하지 않겠는가.
출처 : 미디어 충청